역사 5

티베트는 반만년 독립국이 아니며 지상낙원도 아니다

티베트에 관심을 가지는 많은 사람들은 반공,반중감정의 정당성을 위해, 혹은 불교의 전통이 산천초목마다 어려있는 그 국본(國本) 자체가 현대의 죽림정사와도 같은 불교국가 티베트에 대한 영적인 지지로써 중공이 티베트에서 벌였던 패악질과 한때 당조와 경쟁하며 수도 장안을 점령하기까지 하였던 토번의 위상을 언급하며 티베트가 자주국으로 발돋움하기를 바라는 말들을 하곤 한다 하지만 역사를 보는 시선은 다각적이여만 하며 일국의 사회와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가 사상 혹은 종교적 정당화를 위한 것이라면 그건 안하느리만 못한것이다. 700년동안 중국이 티베트에 대한 주권을 행사했다는 중공의 관영언론 인민일보의 주장은 물론 궤변이다만 티베트는 이미 청조 시절부터 중국의 번이 되었기에 자주국으로써 주체적인 국가는 되지 못했다...

역사 2021.03.29

고스트 오브 쓰시마가 그려낸 가짜 일본

현재 세계에서의 일본의 위상과는 다르게 일본 역사를 다룬 AAA급 게임은 코에이에서 만드는 전국무쌍, 노부나가의 야망을 제외하면 그닥 없다시피한데, 그런 나의 가려움증을 긁어주기라도 하듯이 고스트 오브 쓰시마 약칭 고오쓰가 지난해 7월에 출시되었다. 여러모로 훌륭한 게임이였고 지금도 좋은 인상으로 남았지만 본 게임의 고증 수준은 몽고습래(蒙古襲來)가 아닌 내 안구습기를 차게 만들었는데 고스트 오브 쓰시마에서 묘사되는 일본이 실제 가마쿠라 시대와 얼마나 달랐는지 짧게 글을 남겨보려고 한다. 1. 쓰시마의 무사들은 그렇게 잘 항전하지 못했다몽골군이 쓰시마에 도래한것은 분에이 10월 5일(1274년)의 일로 막 해변가에 상륙한 1,000여명의 여몽연합군 선발대를 상대로 고작 80명의 무사들을 거느린 당시 쓰시..

역사 2021.03.22

좋은 무슬림, 나쁜 민족

티베트어로 무슬림은 ཁ་ཆེ་까체로, 이 단어 자체가 카슈미르인을 의미한다.​오스만 제국의 영향으로 발칸 반도에서는 현재까지 무슬림을 부르는 단어로 "터키인"이 관용어로 쓰이듯이, 티베트에선 "카슈미르인"이 그 자리를 차지하는것이다.​정교政敎일치 국가였던 티베트는 역사적으로 불교가 절대다수였고 다른 종교가 차지할 비중은 전혀 없었다는게 대중들의 흔한 인식이지만 그렇지 않다.​티베트는 8세기 경부터 아르바브,네팔,카슈미르의 무슬림들과 지속적인 교류관계에 있었으며 (물론 다수가 카슈미르 출신이겠지만) 이렇게 유입된 라싸의 무슬림들은 티베트 여성의 통혼 등으로 그 규모를 불려가 독자적인 공동체를 형성했다. (편의상 카슈미르계로 칭)​17세기 말 규모가 상당해진 라싸 내의 무슬림 공동체는 당시 티베트의 지배자인..

역사 2021.03.10

중국 공산당 역사관의 모순

19세기 말부터 가속된 청 제국의 혼란화는 13대 달라이 라마에게는 곧 기회였다. 티베트 내에 거류하던 중국인들을 지속적으로 추방하고 *최왼 제도를 파괴하는 등의 대중국 강경정책으로 티베트-중국 외교간 전통적 의례가 전부 유명무실해지고, 중화민국 시대만 해도 중국인들은 전통적 관계의 재수립을 강렬하게 희망하였지만 중화인민공화국 시대의 중국인은 구습과의 철저한 단절을 선언하면서 전혀 새로운 관계를 수립하였다. 그러면서도 모순적이게도 현대의 중국인은 현재의 티베트 중국 관계의 정당성을 역사와 전통에서 찾고 있다. 이른바 티베트 문제가 확대되어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되자, 중국인 학자들은 조공과 최왼, 공시 관계로 대표되는 역사적 사실을 기준으로 "원래 서장은 중국의 일부였다"는 가설을 입증함으로써 현재의 티베..

역사 2021.03.10

제노포비아 감정에 소모되는 민족

오늘날 티베트에 대한 이해는 티베트의 역사 속에 존재했던 팍빠와 총까빠 등의 저명한 고승들이 각 종단을 이루어 현재까지 수백년간 방대한 지혜를 축척해온 밀교적 교법을 배우고자 하는 승려들이나 전 세계가 중국의 패권주의에 직면한 지금 그들의 폭정 속에 고통받는 비한漢인 이민족으로써 그들의 민족혼과 전통이 공산당을 파괴하는데에 조력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는 반중론자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물론 전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자신들의 신앙을 해외에 전파하는건 해외 거주 티베트 승려들이 가장 힘쓰는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후자는 일부의 티베트인들이 해외에 망명정부를 차리고 공산당에 항거한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20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티베트의 문화와 전통을 "그들은 중국 내 중국인들과 다른 역사와 문화를 지닌 탄..

역사 2021.03.10